소득 상위 10% 제외, 국민 90% 대상… 지급일과 신청법은?
2025년 9월부터 시작되는 2차 민생지원금 지급 소식이 공식화되면서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번 지원금은 고물가와 경기 둔화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보탬이 될 예정인데요. 특히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나머지 국민 대부분이 대상이기 때문에 놓치면 아까운 혜택입니다. 이 글에서는 지급 대상, 신청 방법, 사용 가능처, 유의사항까지 모두 정리해 드립니다.
2차 민생지원금 대상자는 누구일까?
이번 2차 민생지원금은 소득 상위 10%를 재외한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 원이 지급됩니다.
1차 지원금과 비교하면 차등 없이 일괄 지급된다는 점이 특징이며,
총합산 시 국민 1인당 최대 25만 원까지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지급 대상은 건강보험료 납부 기준으로 선정되며,
건보료 확인해 보기
신청 일정과 기간 확인하기
구분 신청 기간
1차 소비쿠폰 신청 | 2025년 7월 21일 ~ 9월 12일 |
2차 소비쿠폰 신청 | 2025년 9월 22일 ~ 10월 31일 |
1차는 현재 신청 가능하며 요일제가 종료되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2차 신청은 9월 22일부터 시작되므로, 미리 캘린더에 표시해 두세요.
어떻게 신청할 수 있을까?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 온라인 신청
카드사 홈페이지, 카드 앱, 토스·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등
간편 결제 앱을 통해 신청 가능하며, 신청 후 하루 이내 지급됩니다. - 오프라인 신청
신분증 지참 후 카드사 제휴 은행 또는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고령자나 장애인은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도 가능하니 지자체에 문의하세요.
미성년 자녀의 지원금은 세대주 명의로 신청 가능하며,
미성년 단독 세대주도 본인이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
어디서 사용할 수 있을까?
지원금은 주민등록상 주소지 내 소상공인 매장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사업장이 대상입니다.
사용 가능 업종 사용 제한 업종
전통시장, 마트, 음식점, 병원, 약국 | 대형마트, 백화점, 면세점, 온라인몰 |
학원, 미용실, 의류점 등 | 유흥업소, 사행업종, 공공요금 납부 등 |
지원금 사용 마감일은 2025년 11월 30일(일)로,
기한 이후 미사용 금액은 자동 소멸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모아봤어요
Q1. 1차 지원금을 받았는데 2차는 자동으로 들어오나요?
→ 아닙니다. 1차와 2차는 별도 신청이 필요합니다.
Q2. 주소지를 옮겼는데 사용처는 어디로 지정되나요?
→ 지급 기준일(2025.6.18) 기준 주소지에서 사용 가능하며,
전입신고 완료 시 지역 변경도 가능합니다.
Q3.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도 받을 수 있나요?
→ 예. 온라인 신청 시 지역사랑상품권 앱으로 수령 가능하며,
카드사 포인트, 선불카드 방식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및 사기 피해 주의 안내
최근 지원금과 관련된 스미싱 문자, 가짜사이트 등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공식 정보는 반드시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카드사 앱 등
공식 경로를 통해 확인하시고, 문자나 메시지로 계좌번호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 절대 응하지 마세요.
이런 분들 꼭 신청하세요!
유형 이유
알바생, 비정규직 | 직장가입자라 하더라도 소득 기준 충족 시 가능 |
특고·프리랜서 | 4대보험 미가입자라도 소득 기준 충족 시 지급 대상 |
미성년 단독 세대주 | 직접 신청 가능, 별도 보호자 필요 없음 |
소상공인·자영업자 | 사업장 매출이 일정 기준 이하면 사용처로도 등록 가능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땡겨요 민생지원금 사용법 완전정복! 3분이면 공짜치킨 가능 (1) | 2025.08.03 |
---|---|
2025년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분할상환 특례지원 총정리 (1) | 2025.08.03 |
2025 근로장려금 지급일은 언제? 꼭 확인하세요 (1) | 2025.08.02 |
SK텔레콤 개인정보 유출 4종 + 21종, 무슨 내용일까? 피해 조회와 대처법 총정리 (1) | 2025.08.02 |
예체능 학원비도 소득공제 가능할까? 2025년 세제 혜택 총정리 (1) | 2025.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