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1인 가구 주거급여 조건 총정리 (2025년 기준)

by jinjjaroo 2025. 7. 28.
반응형
1인 가구 주거급여 조건 총정리 (2025년 기준)

1인 가구 주거급여 조건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주거급여는 정부가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해 임대료나 주택 수선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1. 주거급여 지원 대상

 

주거급여를 받으려면 먼저 '소득인정액'과 '부양의무자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소득인정액: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이 중위소득의 47% 이하여야 합니다. 2025년 기준, 1인 가구의 경우 월 소득인정액이 약 1,013,101원 이하여야 합니다.
  • 부양의무자 기준: 2025년 현재, 부양의무자 기준은 폐지되었습니다. 따라서 부모나 자녀가 소득이 많아도 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부양의무자가 고소득자일 경우 생계급여나 의료급여는 제한될 수 있습니다.)

2. 1인 가구 주거급여 지급액 (2025년 기준)

지급액은 '소득인정액'과 '지역'에 따라 다르게 산정됩니다.

  • 임차 가구 (월세): 실제로 내는 월세액을 기준으로, 지역별 기준 임대료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급됩니다.
  • 자가 가구: 주택 노후도에 따라 주택 수선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지역별 1인 가구 기준 임대료

급지 지역 1인 가구 기준 임대료 (최대 지원금)
1급지 서울 360,000원
2급지 경기, 인천 308,000원
3급지 세종, 광역시 267,000원
4급지 그 외 지역 240,000원

예시:

서울(1급지)에 사는 1인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0원이고, 월세로 30만 원을 낸다면, 기준 임대료 36만 원을 넘지 않으므로 월 30만 원을 전액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소득인정액이 10만 원이라면, 기준 임대료에서 소득인정액을 뺀 금액(36만 원 - 10만 원 = 26만 원)을 지원받게 됩니다.

3. 신청 방법

  • 신청 장소: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 신청 서류: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금융정보제공 동의서, 임대차 계약서, 통장 사본 등
  • 신청인: 본인 또는 가족,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이 직권으로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4. 핵심 정리

  • 소득기준: 1인 가구 중위소득 47% 이하 (약 월 101만원 이하)
  •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 지원금: 지역과 소득에 따라 다르며, 최대 서울 36만 원, 경기 30.8만 원까지 가능
  • 신청: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신청

주거급여는 주거 환경 개선에 큰 도움이 되는 제도이니, 조건에 해당되신다면 꼭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