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가족 간 계좌이체 증여세, 총정리

by jinjjaroo 2025. 7. 28.
반응형
가족 간 계좌이체 증여세, 총정리

가족 간 계좌이체는 증여세를 피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현행법상 계좌이체 기록은 명확한 증여 증거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증여세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따라 부과되며, 일정한 공제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세 비과세 한도 (10년간 누적)

 

가족 관계에 따라 증여세 없이 계좌이체를 할 수 있는 금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금액은 10년 동안의 누적 금액이므로, 과거에 증여한 금액이 있다면 이를 합산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증여받는 사람과의 관계 증여재산 공제 한도 (10년간 누적)
배우자 6억 원
직계존속 (부모, 조부모 등) 5천만 원 (미성년자는 2천만 원)
직계비속 (자녀, 손자녀 등) 5천만 원
기타 친족 (형제자매, 사촌 등) 1천만 원

주의:

  • 10년 동안의 누적 금액입니다. 오늘 5천만 원을 증여받았다면, 10년이 지나야 다시 5천만 원까지 공제가 가능합니다.
  • 공제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세 신고 및 납부

공제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을 증여했다면, 증여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증여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 기간 내에 자진신고 및 납부를 하면 세액의 3%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과세표준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 금액) 세율
1억 원 이하 10%
1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20%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30%
10억 원 초과 ~ 30억 원 이하 40%
30억 원 초과 50%

예시: 성인 자녀가 부모님께 1억 원을 증여받는 경우

  • 총 증여액: 1억 원
  • 증여재산 공제: 5천만 원
  • 과세표준: 1억 원 - 5천만 원 = 5천만 원
  • 세율: 10%
  • 납부할 세액: 5천만 원 × 10% = 500만 원

증여로 보지 않는 경우

모든 가족 간의 금전 거래가 증여로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증여로 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상환 능력 증명: 빌린 돈을 갚았다는 증거가 명확할 때 (차용증 작성 및 이자 지급 기록 등)
  • 생활비 또는 교육비: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범위 내의 생활비, 교육비, 의료비는 증여로 보지 않습니다. 단, 사치스럽거나 호화로운 생활비는 제외됩니다.

결론적으로, 가족 간 계좌이체는 공제 한도를 초과하면 반드시 증여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만약 증여세 신고를 하지 않았다가 나중에 국세청에 발각되면, 가산세까지 추가로 납부해야 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상담을 위해서는 세무사나 국세청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