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직장맘을 위한 모성보호시간 신청 방법 총정리

by jinjjaroo 2025. 8. 6.
반응형

직장맘을 위한 모성보호시간 신청 방법 총정리

모성보호시간은 어떻게 신청하고 사용할 수 있을까요?

 

직장에 다니는 여성 근로자라면 임신 중에도 안전하고 건강하게 근무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보장된 '모성보호시간' 제도를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모성보호시간의 개념부터 신청 방법, 실제 사용 시 유의사항까지
꼼꼼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모성보호시간이란 무엇인가요?

모성보호시간은 임신한 여성 근로자가 하루 2시간까지
유급으로 근로시간을 단축해 사용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는 반드시 사용이 가능하며,
그 외 기간에도 의사의 소견이나 본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신청 가능합니다.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모성보호시간은 다음 요건에 해당하는 모든 여성 근로자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구분 신청 가능 여부

정규직 가능
계약직 가능
일용직 일부 제한 있으나 가능

임신 사실을 회사에 알리고 진단서를 제출하면
소속 회사의 인사부나 담당 부서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신청하나요?

모성보호시간은 아래의 절차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1단계: 임신 진단서 또는 산부인과 소견서 준비
2단계: 회사에 모성보호시간 사용 의사 전달
3단계: 지정된 신청서 양식 작성 및 제출
4단계: 인사팀 또는 상급자의 승인 후 사용 시작

회사의 규정에 따라 이메일 또는 전산 시스템으로도 접수할 수 있습니다.


하루 몇 시간까지 쓸 수 있나요?

모성보호시간은 하루 최대 2시간까지 가능합니다.
단, 회사와 협의하여 출근 또는 퇴근 시간에 나누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구분 출근 퇴근 사용 시간

A사원 10:00 18:00 출근 1시간 지연, 퇴근 1시간 조기퇴근
B사원 09:00 17:00 오전 2시간 단축 근무

중요: 회사는 임산부가 요청할 경우 이를 거절할 수 없으며,
근로기준법 제74조에 따라 의무적으로 허용해야 합니다.


급여는 어떻게 되나요?

모성보호시간은 유급입니다.
즉, 근로시간을 단축하더라도 전체 임금에는 변동이 없습니다.
사용자가 해당 시간을 이유로 급여를 삭감하면
법적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사용 시 주의할 점은?

  1. 미리 상급자나 팀원에게 스케줄을 공유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가능한 한 정해진 시간대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업무 조율에 용이합니다.
  3. 출산휴가나 육아휴직과 병행하여 계획하면 효율적입니다.

모성보호시간을 사용함으로써
임산부는 체력적 부담을 줄이고, 건강한 임신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회사가 거부하거나 불이익을 준다면?

회사가 모성보호시간을 부당하게 거부하거나
이를 이유로 인사상 불이익을 주는 경우,
관할 고용노동청에 민원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법적으로 보호받는 권리이기 때문에
어떠한 불이익도 있어서는 안 됩니다.
문제가 생기면 고용노동부 고객센터(1350) 또는
전문 노무사와 상담을 권장드립니다.


모성보호시간과 다른 제도와의 차이점

모성보호시간과 자주 혼동되는 제도들과의 차이를 정리해 봤습니다.

제도명 대상 유급 여부 사용 시간

모성보호시간 임산부 유급 하루 최대 2시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만 8세 이하 자녀 부모 무급 또는 부분 유급 하루 최대 2시간 단축
출산휴가 임산부 유급 출산 전후 90일

각 제도의 목적과 적용 대상이 다르므로
본인의 상황에 맞게 정확히 확인하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