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팁

싱크홀(Sinkhole)

by jinjjaroo 2025. 7. 30.
반응형

싱크홀(Sinkhole)

 

 

싱크홀(Sinkhole)은 지표면이 갑자기 가라앉거나 함몰되어 생기는 구멍을 말합니다. 주로 자연적인 원인과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도시 지역에서는 인위적인 원인으로 인한 싱크홀 발생이 더 많습니다.

 

 


싱크홀 발생 원인

 

  • 자연적 원인 (카르스트 지형): 석회암과 같이 탄산칼슘 성분이 많은 암석이 빗물이나 지하수에 녹으면서 지하에 빈 공간(공동)이 생기고, 이 공동의 천장이 무너지면서 지표면이 함몰되는 경우입니다.
  • 인위적 원인 (도시형 싱크홀):
    • 노후 지하 매설물 손상: 상하수도관이나 기타 지하 관로가 노후되어 파열되거나 틈이 생기면, 누수가 발생하고 주변 흙이 쓸려 내려가 지하에 공동이 형성됩니다. 이 공동이 커지면 지표면이 무너져 싱크홀이 발생합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싱크홀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 지하수위 변화: 터널 공사 등으로 지하수를 과도하게 빼내 지하수위가 급격히 낮아지면, 지하 구조물을 지탱하던 수압이 감소하여 지반이 약해지고 붕괴될 수 있습니다.
    • 굴착 공사 부실: 지하 굴착 공사 시 흙막이벽 설치가 부실하거나 되메우기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지반이 약해져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매립지 지반 침하: 과거 매립된 부지가 시간이 지나면서 흙이 단단히 굳지 않아 서서히 가라앉거나, 그 위에 건물이 들어서면서 하중이 더해져 침하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싱크홀의 위험성

  • 인명 피해: 갑작스러운 싱크홀 발생으로 인해 차량이나 사람이 빠져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국내에서도 사망 사고가 발생한 사례가 있습니다.
  • 재산 피해: 도로, 건물, 지하 시설물 등이 파손될 수 있으며, 경제적 손실이 클 수 있습니다.
  • 교통마비: 도로 한복판에 싱크홀이 발생하면 교통 통제와 복구 작업으로 인해 심각한 교통 혼란을 야기합니다.
  • 예측의 어려움: 싱크홀은 사전 징후가 미미하거나 갑자기 발생할 수 있어 예측과 대비가 어렵습니다.

국내 싱크홀 사례

국내에서는 석회암 지대가 적어 자연적인 싱크홀보다는 노후화된 상하수도관 파열이나 지하 공사로 인한 인위적인 싱크홀이 주로 발생합니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에서 매년 크고 작은 싱크홀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강동구 대명초사거리 싱크홀 사고 (2025년 3월): 지하철 9호선 연장구간 공사현장에서 터널 천장 붕괴로 토사가 유입되며 대형 싱크홀이 발생하여 인명 피해가 있었습니다.
  • 서울 명동 싱크홀 (2025년 5월): 사용하지 않는 폐상수도관이 깨지면서 토사가 흘러 들어가 발생했습니다.
  • 양양 편의점 싱크홀 (2022년 8월): 강원도 양양군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로, 매립지 지반 침하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 송파구 석촌 지하차도 싱크홀 (2014년): 제2 롯데월드 인근에서 발생하여 큰 사회적 이슈가 되었으며, 지하수 유출이 주요 원인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싱크홀 예방 및 대처 방안

  • 정기적인 지반 조사 및 모니터링: 지표투과레이더(GPR)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지하의 공동이나 지반 약화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 노후 지하 시설물 정비: 오래된 상하수도관 등 지하 매설물의 정기적인 점검 및 보수, 필요시 교체 작업을 통해 누수를 예방해야 합니다.
  • 지하수 관리: 지하수위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과도한 지하수 사용을 규제하며, 빗물 재충전 시스템 등을 도입하여 지하수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 공사 현장 안전 관리 강화: 지하 굴착 공사 시 철저한 안전 기준을 준수하고, 흙막이벽 설치 및 되메우기 작업을 꼼꼼히 하여 지반 침하를 예방해야 합니다.
  • 시민들의 관심과 신고: 도로에 갑자기 균열이 생기거나, 움푹 들어간 곳, 물이 솟아나거나 비가 오지 않았는데도 도로가 젖어있는 등 싱크홀 조짐이 보이면 즉시 112나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싱크홀은 예측이 어렵고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